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해 두었음에도 불구하고
재부팅 후 네트워크 드라이브 아이콘 앞에 'X' 자 표시와 함께 연결이 끊어져 있을 때가 있다.
* 참고 - 윈도우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*
windows :: 윈도우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
컴퓨터에서 C 드라이브 같은 기본적인 드라이브 외에도 외부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. 그럴 때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해두면 자유롭게 드라이브를 넘나들며 사용할 수
toramko.tistory.com
↑ 정상 상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목록에 이렇게 표시되지만
↑ 연결이 끊어져 있으면 아이콘이 이런 형태로 바뀐다.
이 때, 해당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클릭하면 다시 연결이 되지만
매번 재부팅 후 연결이 끊어질 때마다 클릭하기는 번거로운 일이다.
이 경우 배치 파일(.bat) 을 작성해서 재부팅 시 자동 연결되도록 만들어두면 편리하다.
1. 메모장을 열어 아래와 같이 배치 파일 작성
@echo off
set delay=10
net use Z: /delete
net use Z: \\{네트워크 드라이브 주소}
1) @echo off: 배치 파일이 실행될 때 cmd 창이 활성화되지 않게 함
2) set delay=10: 재부팅 시 10초간 기다렸다가 실행 (재부팅하면 컴퓨터가 워낙 바쁘니까)
3) 아래 두 줄: Z 드라이브에 맵핑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을 끊었다가 (/delete) 다시 연결시킴
2. 배치 파일 확장자(.bat) 로 저장
위와 같이 파일 형식을 '텍스트 문서(*.txt)' -> '모든 파일(*.*)' 로 변경하고,
{파일명}.bat 로 저장한다.
3. 재부팅 시 실행되는 시작프로그램에 배치파일 등록
1) 키보드 'win + R' 을 눌러 실행(run) 창을 연다.
2) 'shell:startup' 을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.
3) '시작프로그램' 폴더가 뜨면 위에서 작성한 배치 파일(netdrive.bat)을 끌어다 넣는다.
(그냥 끌어 넣으면 옮겨지니, ctrl 키를 같이 눌러 복사해 넣는다.)
4) 확인
작업관리자 > 시작프로그램(startup) 탭 목록 아래에 추가되었는지 확인한다.
이렇게 해두면 윈도우 재부팅 후에도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계속해서 잘 연결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 :)
'::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meter :: jmeter jmx 파일 오픈 시 CannotResolveClassException 에러 해결 (0) | 2023.07.03 |
---|---|
windows :: 파이썬(python) 프로세스 여러 개를 구분하는 방법 (프로세스 이름 변경 배치(.bat) 스크립트 작성하기) (0) | 2022.01.10 |
windows :: 윈도우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(0) | 2021.12.02 |